2005년 7월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남북관계 개선을 위하여 정부가 직접 북한지역에 전력공급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전력공급 관련 설비 제조업체들과 관련업체들이 시장에서 주목을 받음. 이후 송전선로업체/송전선/발전설비, 기타 관련업체들로 구성된 전력설비주들은 대북관련주로도 인식되면서 북핵이나 남북관계 관련 모멘텀 발생시 시장에서 주목 받는 경향이 있음. <본 섹터는 심리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므로 종목별로는 실제 영위하는 사업내용과 섹터내용의 상관관계나 매출비중이 다소 낮을 수 있음.>
종목명 | 설명 |
*LS | LS그룹의 지주회사. 주식의 소유를 통하여 국내회사의 사업내용을 지배하는 것을 주된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주 수입원은 자회사들로부터 받는 배당금, 소유 건물의 임대료, 브랜드 수수료 수입 등. 전선 제조업체인 LS전선(주), 전력기기 제조업체인 엘에스일렉트릭(주), 동제련업체인 LS-Nikko동제련(주), 기계 및 전자부품 제조업체인 LS엠트론(주), 금속광물 도매업체인 LS글로벌인코퍼레이티드(주) 등의 자회사를 보유중.최대주주는 구자열 외(35.21%), 주요주주는 국민연금공단(13.43%) 상호변경 : LS전선 -> LS(08년07월) |
*LS ELECTRIC | LS그룹 계열의 전력기기 및 시스템 제조/공급 업체. 전력사업(저압기기,고압기기,계량기, 계전기,초고압,배전반,진단 등), 자동화사업(PLC, INVERTER, 자동화시스템, 빌딩자동화, 철도시스템 등) 등을 영위. 스마트그리드, 태양광, HVDC(초고압직류송전), 친환경 전력기기, 전기차 전장부품 등의 그린에너지 사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중. 금속사업(동관, 스테인레스관) 등을 영위하는 LS메탈을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 최대주주는 (주)LS 외(48.25%), 주요주주는 국민연금공단(13.43%) 상호변경 : LS산전 -> LS ELECTRIC(20년4월) |
가온전선 | LS그룹 계열사로 전력케이블 및 통신케이블을 생산하는 국내 3대 전선 전문 제조업체. 주요 고객으로 한국전력, KT 등. 통신케이블제조를 주력으로 하는 이지전선(주) 등을 종속회사로 보유.최대주주는 LS전선(주)(46.56%) 상호변경 : 희성전선 -> 가온전선(04년9월) |
광명전기 | 중전기 전문 제조업체로 수배전반 가스절연개폐장치(GIS) 등을 생산, 판매. 동사의 제품들은 빌딩과 대규모 플랜트에서 원자력발전소에 이르기까지 전력이 공급되는 모든 건물에 설치, 운영 중. 태양광발전시스템 시공 사업도 영위. 코스닥 상장사 피앤씨테크(주) 지분 보유. 최대주주는 이재광 외(32.19%) |
금화피에스시 | 플랜트 건설 및 발전소 경상정비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화력/원자력/조력발전소 설비 및 에너지설비(LNG인수기지, 석유비축기지), 해외설비(해외플랜트 하도급 공사), 기타설비(제철설비) 등의 기계설비 공사와 경상정비 공사에 주력. 원자력발전소 건설공사 중 핵심 부분인 원자로 건설공사 시공 경험 보유. 코넥스 상장사 (주)엔에스컴퍼니를 계열사로 보유하고 있으며, 비상장사 금화씨앤이(주)(구 맥스파워)와 (주)금화전자(구 안성전기) 등을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 최대주주는 김성기 외(36.68%), 주요주주로는 TETON CAPITAL PARTNERS.(13.3%), FIDELITY MANAGEMENT & RESEARCH COMPANY(12.83%). 상호변경 : 신건기설 -> 금화기공(81년10월) -> 금화피에스시(00년07월) |
대원전선 | 전력 및 통신 케이블 제조/판매업체. 주요제품으로 생활용 전력 및 산업용 전력의 공급과 정보통신망 구측, 전기전자기기, 자동차, 각종 기계 등에 들어가는 전력 및 통신케이블(광케이블포함), 절연선(자동차전선포함) 등을 생산. 최대주주는 갑도물산 외(32.76%) |
대한전선 | 국내 최초의 종합 전선제조업체. 주요 제품은 전력 및 절연선, 나선 및 권선 등. 초고압케이블, 통신케이블, Copper Rod 등을 생산, 판매.최대주주는 주식회사 호반산업 등(40.00%) |
*두산중공업 | 두산그룹 계열사로 발전설비사업(원자력, 화력, 풍력, 열병합 등), 담수/수처리 및 산업설비사업, 주단사업, 건설사업 등을 영위. 기초소재인 주단조에서부터 원자력, 화력 등 발전설비, 해수담수화 플랜트, 환경설비 등을 제작 및 공급. 해수담수화 전 Process(다단증발법, 다중효용증발법, 역삼투압법)를 EPC로 공급할 수 있는 기술 역량 보유. 원자로 용기 제작이 가능한 단조설비를 가진 세계적인 회사중 하나이며, 국내 첫 원자력발전 해외 수출 1호인 아랍에미리트(UAE) 원자력발전소 주기기 공급사로 참여. 두산인프라코어(주), 두산건설(주) 등을 자회사로 보유. 18년6월 두산엔진(현 HSD엔진) 투자사업부문을 흡수합병. 최대주주는 (주)두산 외(48.99%) |
보성파워텍 | 전력산업 기자재 생산 전문업체. 발전소, 변전소 철골 및 송배전 기자재 등 전력산업에 사용되는 기자재 개발 및 제작, 판매를 주된 사업으로 영위. 주요제품으로 중전기기류, 송배전자재류, 철구조물 등. 한국형 원자력발전소의 철골구조물을 생산/공급하고 있으며, 한국전력공사에 매출이 집중됨.최대주주는 임도수 외(15.53%) |
비츠로테크 | 자동절환 개폐기, 진공차단기/저압차단기, 배전반 등을 생산하는 전력기기 업체. 플라즈마기술을 이용한 폐액처리 및 진공상태 초정밀접합, 특수정공 설계 등을 통한 항공우주 시제품을 생산하는 특수부문 사업도 영위. 전력기기 사업 부문을 분할하여 분할 신설회사 주식회사 비츠로 이에스(Vitzro Es Co., LTD)를 설립.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소형위성 발사체 개발사업에 참여한 바 있으며, 국내최초로 액체로켓 연소기 개발과 제작에 성공. 또한, 플라즈마기술을 이용하여 산업전반에 발생하는 독성폐액을 처리하는 폐액처리사업과 플라즈마기술을 이용하여 핵융합반응을 일으켜 핵융합에너지를 얻는 KSTAR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음. 초고온의 플라즈마로부터 토카막 내부의 장치를 보호하는 PFC 제작 등을 수행중.최대주주는 장순상 외(57.03%) |
서전기전 | 고압/저압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 자동제어반을 제조 및 판매. 주상변압기로부터 전력을 받아(수전반), 변압기를 통해 사용가능 전압으로 변환 후 사용처로 배분하는(배전반) 설비 및 해당 전력기기를 생산. 주요 제품은 고압의 전력을 저압으로 변환하는 변압기, 전력량을 측정하는 계량기와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계전기, 계전기의 신호로 인해 전력을 차단하는 차단기 등.최대주주 홍춘근 외(45.29%) |
선도전기 | 발전, 송변전, 배전설비 등 제반 산업용 플랜트의 전력설비에 공급되는 각종 전력변환기기류를 생산, 판매하는 중전기기 업체. 주요제품으로 수배전반류, 진공차단기류, 가스절연개폐기류, 보호계전기반류, 전자식전력량계 등을 제작/판매하며, 환경친화적인 제품인 클러스터이온발생기, 전기집진기, 음이온발생기, 태양광발전설비 등도 생산, 판매.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등을 영위하는 SD벤처캐피탈(주)을 종속회사로 보유.최대주주는 전동준 외(30.48%) |
세명전기 | 송/배전선로 가설용 및 전철선로용 금구류, 섬유직기용 섹셔날빔과 자동차부품 제조업을 영위하는 업체. 송/배/변전선로 가설용 금구류를 제조하여 한국전력공사 등에 공급하고 있으며, 전철용 금구류를 한국철도공사 및 지하철 공사 등에 납품. 또한, 섬유직기용 섹셔날빔과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여 섬유업체 및 자동차 업체에 공급. 전차선 설비 국산화 개발을 주도, 초고속전철 설비사업에도 참여. 최대주주는 권철현 외(38.8%) |
이화전기 | UPS(무정전 전원장치), 몰드변압기, 정류기(통신용 정류기 포함), 주파수변환기(RF), 전원공급기(IPD) 등 다양한 전원공급장치 및 전력변환장치를 생산/공급하는 중전기기 전문업체.최대주주는 (주)이트론(21.23%) 상호변경 : 이화전기공업 -> 이티아이(00년1월) -> 이화전기(03년3월) |
일진전기 | 일진그룹 계열의 종합 중전기 제조업체. 각종 전선(초고압전선, 중고압전선 등), 전력기기(개폐기, 변압기 등)를 전문적으로 제조, 판매. 전선사업부는 국내 전선시장에서 LS전선 및 대한전선 등에 이어 3~4위권의 시장지위를 확보하고 있음.최대주주는 일진홀딩스(주) 외(59.73%) |
제룡산업 | 제룡전기에서 인적분할하여 설립된 업체로 금속 및 합성수지제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주요제품으로 송ㆍ배전, 통신 및 철도전차선 금구류, 가공 및 지중배전 수지제품 등. 주요 고객은 한국전력공사. 최대주주는 박종태 외(46.78%) |
제룡전기 | 변압기, 개폐기, GIS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주력 제품은 변압기임. 최대주주는 박종태 외(36.14%) 상호변경 : 제룡산업 ->제룡전기(11년11월) |
제일전기공업 | 차단기 및 전기배선기구류 등 전기기기를 개발, 제조 및 판매업체. 일반배선기구, 스마트 배선기구, 차단기, 스마트분전반, 주택용 분전반, 전자접촉기/개폐기, AFCI/GFCI PCB ASSEMBLY(수출) 등을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AI스마트 돌봄 시스템 개발 중. 최대주주는 강동욱 외(60.52%), 주요주주는 한화-인커스플러스제1호신기술사업투자조합(8.65%) |
피앤씨테크 | 전력계통의 배전분야에서 정전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디지털전력기기를 생산하는 전력 IT 전문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배전자동화단말장치(FRTU/FTU), 디지털보호계전기, 원격감시제어시스템, 고장점표정장치, 전자식전력량계, 자동소화장치 등이 있음. 최대주주는 (주)광명전기 외(46.91%) |
*한국전력 | 국내 발전 및 송전사업을 책임지고 있는 공기업으로 전기판매, 원자력발전, 화력발전, 기타(발전소 설계 및 정비 등)사업을 영위. 국내에선 독점적 시장점유율로 안정적인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해외에선 화력/원자력/수력 등의 발전사업과 유연탄, 우라늄 등의 자원개발사업 등을 영위. 또한, 신재생에너지 사업도 진행중. 거래소 상장업체인 한전KPS, 한국전력기술(한전기술)을 비롯하여 한국수력원자력(주), 한전원자력연료(주), 한전KDN(주) 등의 계열사를 보유. 최대주주는 한국산업은행(32.9%), 특수관계인은 대한민국정부(18.2%), 주요주주는 국민연금공단(6.94%) |
*한전KPS | 한국전력공사 계열의 발전설비 정비 전문업체. 국내 발전설비정비 선도기업으로서 전력설비정비(화력, 원자력/양수, 송변전, 대외, 해외) 이와 관련되는 기술개발 및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을 영위. 최대주주는 한국전력공사(51.00%), 주요주주로는 국민연금공단(7.26%) |
한전산업 | 검침사업(검침, 송달, 기타 인터넷빌링 등)과 발전사업(연료,탈황,회처리 운전 및 정비 등), 기타사업(ESCO, ESS, 태양광(열)발전 등) 등을 영위하는 업체. 스마트그리드 보급사업(지능형전력량계, AMR서버 등)도 진행. 대부분 매출이 발전사업에서 발생. 최대주주는 한국자유총연맹(31.00%), 주요주주는 한국전력공사(29.00%) |
현대일렉트릭 | 기존 현대중공업에서 전기전자 사업이 인적 분할돼 재상장된 업체. 전력기기(변압기, 고압차단기 등), 회전기기(회전기, 저압전동기 등), 배전기기 外(배전반, 전력제어, 중저압차단기 등) 등을 생산, 판매중.최대주주는 현대중공업지주(주) 외(40.02%) |
효성중공업 | (주)효성에서 중공업 및 건설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재상장된 업체. 변압기, 차단기, 전동기, 감속기 등 전력기기(중공업)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사 등 건설 사업도 영위. 풍력발전의 핵심 부품인 증속기(gearbox)와 발전기(generator) 부문에서 검증된 설계 기술과 생산 역량을 갖춤. 20년4월 세계 최대 규모 액화수소공장 건립을 발표.최대주주는 (주)효성 외(54.19%) |
[주식] 전력저장장치 (ESS) 관련주 (0) | 2020.12.21 |
---|---|
[주식] 보톡스 (보툴리눔톡신) 관련주 (0) | 2020.12.20 |
[주식] 조림산업 관련주 (0) | 2020.12.18 |
[주식] 키오스크 (KIOSK) 관련주 (0) | 2020.12.17 |
[주식] 화폐 / 금융자동화기기 관련주 (0) | 2020.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