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감염 환자 치료를 위한 치료제 및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을 위한 백신개발 기업군. 코로나19의 전세계 확산에 따라 전세계 국제기구, 공공부문과 기업 등이 치료제 및 백신 개발 및 임상 진행중. 일부 국가에서는 기존 의약품에 대해 제한적으로 긴급승인을 하거나 현재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는 다수의 의약품들이 있음.
종목명 | 설명 |
SK바이오사이언스 | SK케미칼의 VAX사업부문이 물적분할되어 설립된 업체로 백신/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 관련된 지식재산권의 임대 및 CDMO/CMO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주요 백신으로는 독감(스카이셀플루), 대상포진(스카이조스터), 수두(스카이바리셀라) 등이 있음. 특히, 2014년 국내 최초 3가 세포배양 독감백신 허가, 2015년 세계 최초 4가 세포배양 독감백신 허가, 2017년 대상포진백신 세계 2번째 허가, 2018년 수두백신 국내 2번째 허가 등의 성과를 거뒀으며, 2014년 글로벌 백신기업 사노피 파스퇴르와 협력해 차세대 폐렴구균백신 개발. CSL에 기술이전을 통해 라이센스 아웃한 A형 혈우병 치료제 앱스틸라는 2016년 美 FDA와 캐나다, 2017년 유럽의약국, 호주에서 시판허가를 받으며 국내 기술 기반 바이오 신약 중 최초로 미국과 EU에 진출. 유전자 재조합기술을 이용해 코로나19 백신 후보 물질을 확보했고, 임상 1상 진행중.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위탁생산계약을 체결했으며, 노바백스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항원 생산 과정에 글로벌 위탁개발생산 공급 업체 가운데 하나로 참여.최대주주는 SK케미칼(주)(68.43%) |
강스템바이오 | 줄기세포 치료제의 개발/제조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동종 제대혈유래 줄기세포치료제(의약품) 연구, 개발 업체. 자체 개발한 다분화능을 가진 줄기세포를 인간 제대혈로부터 고순도(high-purity)로 분리하고, 대량배양(massive culture)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동종 제대혈유래 줄기세포치료제(의약품) 연구개발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주요 제품으로 퓨어스템-에이디®(아토피피부염), 퓨어스템-알에이®(류마티스 관절염), 퓨어스템-시디®(크론병) 등을 보유. 주요 판매처는 (주)대웅제약. 줄기세포 배양액(USC-CM)을 이용하여 화장품업체 코스온과 줄기세포 배양액이 첨가된 화장품 브랜드 'GD11' 판매중. 20년12월 화장품 사업을 영위하는 자회사 라보셀(주) 흡수합병 결정(합병기일:2021-02-23).최대주주는 강경선 외(12.13%) |
국전약품 |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대신밸런스제6호스팩이 원료의약품 제조 및 판매업체 국전약품을 흡수합병함에 따라 변경 상장. 원료의약품 생산 및 수입판매를 주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은 콜린알포세레이트(치매 뇌기능 개선제), 벤포티아민(비타민B1인 티아민의 합성유도체), 구형흡착탄(요독증 증상 개선 및 신장기능 저하 지연제), 나파모스타트 메실산염(혈액 투석 시 관류혈액응고 억제작용을 하는 약물), 케노데옥시콜린산-우르소데옥시콜린산삼수화물마그네슘(담즙성 소화불량 개선제), 은행잎엑스 등이 있음. 특히, 나파모스타트 메실산염은 현재 코로나19에 대한 치료제로써 임상이 실행되고 있으며, 20년12월 아이엠디팜과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협약을 체결하는 등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추진중. 최대주주는 홍종호 외(80.77%) 상호변경 : 대신밸런스제6호스팩 -> 국전약품(20년12월) |
메디콕스 | 조선기자재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초대형 선박의 선수, 선미, 프로펠라보스, 엔진룸 등 9곳의 특수제작 요건을 요하는 부문의 블록제작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현대중공업 및 현대미포조선 등의 1차 협력업체임. 17년3월 철도차량용 전동기 OEM 생산업체인 씨엠지 흡수합병. 20년8월 바이오 관련 헬스케어 유통제조, 의료용품 유통 제조, 마스크 유통 제조 사업을 사업 목적에 추가하는 등 바이오사업 추진중. 최대주주는 주식회사 메콕스바이오메드(11.11%) 상호변경 : 씨오텍 -> 해인I&C(07년4월) -> 메가바이온(08년10월) -> 중앙오션(10년8월) -> 메디콕스(20년9월) |
쎌마테라퓨틱 | 상품권 유통사업 및 치재료 유통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의약품 및 의료기기 개발부문(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 개발, 방사선 의료기기 개발 등)과 상품권 유통사업부문, 치과의료기기 부문 등으로 사업을 구분. 상품권 할인 유통시장에서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주)티켓나라 지분 보유.최대주주는 (주)덴트온 외(8.07%), 주요주주는 (주)레이(5.39%) 상호변경 : 텔레윈 -> 웰스브릿지(07년11월) -> 키스앤컴퍼니(12년11월) -> 트랜스더멀아시아홀딩스(13년4월) -> 핫텍(14년8월) -> 메디플란트(17년5월) -> 메디파트너생명공학(19년1월) -> 쎌마테라퓨틱스(20년2월) |
앱클론 | 항체신약개발, 제조 및 판매업체. 난치성 암 또는 자가면역 질환 극복을 위한 바이오시너지 항체의약품(Biosynergy Antibody Therapeutics) 신약개발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 CAR-T 치료제 등 면역치료제 개발에 신규로 진출. NEST(Novel Epitope Screening Technology) 플랫폼과 AffiMab(Affibody®-based bi-specific Antibody) 플랫폼 기술 보유. 주력제품으로는 위암 및 유방암 관련 AC101(HER2) 항체치료제, 류마티스 관절염 관련 AM201(TNFa x IL-6) 이중항체치료제 등이 있음. 최대주주는 이종서 외(18.25%) |
옵티팜 | 이지홀딩스 계열의 동물질병진단사업(가축병성감정), 동물약품 유통사업 및 박테리오파지사업(사료첨가제 제조,판매), 메디피그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기존 동물진단 및 약품에 관련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신사업부문인 이종장기사업, VLP백신사업, 인체진단키트사업을 연구개발 중으로 바이오전문 회사로 전환 추진중. 최대주주는 (주)이지홀딩스 외(42.10%) |
유나이티드제 | 전문치료제 중심의 의약품을 제조판매하고 있는 제약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순환기계(실로스탄씨알정 등), 소화기계(뉴부틴정 등), 해열진통제(클란자 등) 등이 있음. 타미플루 생산가능업체로 식약처에 등록돼 있으며, 요오드화칼륨 생산 경험을 보유. 최대주주는 강덕영 외(37.13%) |
유바이오로직 | 백신 개발 및 공급 사업과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CRMO(수탁 연구 및 제조) 사업 영위. 주요 제품으로는 경구용 콜레라백신 치료제 '유비콜'이 있으며, '유비콜'의 제품화 경험 및 노하우와 자체기술로 확립한 접합 단백질(CRM197)을 기반으로 장티푸스 백신, 폐렴구균 백신, 수막구균 백신 등 국내외 시장을 겨냥한 세균 백신을 개발하고 있음.최대주주는 김덕상 외(11.05%) |
진매트릭스 | 유전자 분석 및 맞춤의료를 위한 분자진단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진단제, 의료기기, 질병을 예방하는 백신, 천연물을 포함한 신약 또는 건강개선용 소재와 관련한 기술, 제품 또는 상품을 연구개발,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유전자의 질량 차이를 이용한 DNA 변이 분석기술인 RFMP원천기술을 보유. 주요고객은 녹십자의료재단, 다이아제닉스, 대형종합병원, 연구기관 등임. 19년10월 의료용 진단시약 제조업체 (주)진매트릭스바이오 흡수합병.최대주주는 김수옥 외(15.85%) |
진원생명과학 | 의류용 심지와 바이오의약품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바이오의약품 사업은 바이오의약품 CMO사업과 플라스미드 DNA기반 신약개발사업으로 구분됨. 임상시험에 필요한 유전자치료제 및 DNA백신의 원료인 국제규격(cGMP) 플라스미드(Plasmid) DNA 제품을 미국 현지법인인 VGXI, Inc.에서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만성C형 간염 치료용 DNA백신 등을 파이프라인으로 보유. 최대주주는 박영근 외(8.22%) 상호변경 : VGX인터->진원생명과학(14년4월) |
카이노스메드 |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하나금융11호스팩이 신약개발(파킨스병, 에이즈) 업체 (주)카이노스메드를 흡수합병함에 따라 변경 상장. 저분자유기화합물(small organic molecule)계의 합성신약의 장점을 극대화한 질환치료제 발굴을 위한 후보물질 창출 및 초기임상까지의 연구개발을 자체적으로 수행. 퇴행성 뇌질환(파킨슨병) 치료제, 에이즈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항암제(에피제네틱스 항암제, 세포독성항암제, 면역항암제, 표적항암제)와 B형 간염 치료제와 같은 초기 개발단계에서 임상단계 과제에 이르는 다양한 신약 연구개발 파이프라인을 구축. 대표적 기술이전으로는 에이즈 치료제(KM023)가 있으며, 중국영토의 제한적 재실시권 (sub-license)부여와 중국에서 진행되는 임상결과 자료 활용으로 다국적 제약사의 기술이전 기회 확보. 20년3월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 코로나19 신약 창출을 위한 스크리닝 계약 체결.최대주주는 이기섭 외(25.42%) 상호변경 : 하나금융11호스팩 -> 카이노스메드(20년6월) |
한국비엔씨 |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엔에이치스팩11호가 의료기기 제조 및 판매업체 한국비엔씨를 흡수합병함에 따라 변경 상장. 의료기기 제조 및 판매 업체로서, 더말필러(Dermal Filler) 등 미용성형용 의료기기, 창상피복재 등 수술, 시술용 의료기기를 개발 및 생산. 주요 제품으로 매출의 과반 이상을 차지하는 HA필러(Hyaluronic Acid Filler)를 비롯해 유착방지재(심부체강창상피복재), 콜라겐흡수성창상피복재(약물 함유 콜라겐 스펀지), 콜라겐조직보충재 등을 보유. 최대주주는 최완규 외(26.45%) 상호변경: 엔에이치스팩11호 -> 한국비엔씨(19년12월) |
#네이처셀 | 음료/식품 사업과 줄기세포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발효 및 건강기능식품사업, 음료사업 등 식품사업과 줄기세포치료제 판매사업(판매권), 줄기세포해외임상, 줄기세포 배양배지사업, 줄기세포배양액 화장품사업, 뇨줄기세포사업, NK면역세포사업, 피세포사업 등 줄기세포사업을 영위.14년11월 바이오스타코리아로부터 화장품 판매에 대한 권한을 위임 받아 '닥터쥬크르' 브랜드 등의 제품을 판매. 16년10월 마스크팩 2종에 대해 중국CFDA위생허가를 취득했으며, 18년2월 6종(토너, 에멀전, 아이크림, R부스터, 화이트세럼, 화이트크림)에 대해서도 CFDA위생허가를 취득.최대주주는 (주)바이오스타코리아 외(23.64%) 상호변경 : 동보중공업 -> 삼미식품(08년07월) -> 알에프씨삼미(10년03월) -> 알앤엘삼미(10년11월) -> 네이처셀(13년3월) |
#레고켐바이오 | 신약연구개발 및 의약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신약연구개발 사업은 의약화학을 기반으로 항생제와 항응혈제, 항암제, ADC(Antibody-Drug Conjugate)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개발. 15년12월 (주)칸메드를 흡수합병함에 따라 의약품, 의료기기(임플란트 수술용 재료), 의료용 소모품(수술, 진료용 일회성 소모품) 판매사업도 영위. 최대주주는 김용주 외(12.07%), 주요주주는 삼성증권(6.62%), 쿼드자산운용(주)(5.37%) |
#셀리버리 | 약리물질 생체 내 전송기술(TSDT)과 이를 적용한 단백질소재 바이오 신약후보물질의 개발 및 기술이전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TSDT 플랫폼을 이용하여 4종의 단백질 소재 세포/조직투과성 바이오신약 후보물질인 iCP-Parkin(파킨슨병 치료제), iCP-SOCS3(췌장암 치료제), CP-BMP2(골형성 촉진제), CP-ΔSOCS3(고도비만/당뇨 치료제 ) 와 1종의 펩타이드 소재 세포/조직투과성 바이오신약 후보물질인 iCP-NI(감염성 급성간염 패혈증 치료제) 및 3종의 단백질 소재 세포투과성 연구용 시약인 iCP-Cre(유전체 조절효소), iCP-RFs(역분화 유도인자군 6종), CP-Cas9(유전자 가위)을 개발 중. 최대주주는 조대웅 외(22.54%) |
#유틸렉스 | 면역항암 세포치료제와 면역항암 항체치료제 사업 등을 영위하는 업체. 차세대 면역 기반 항암제인 T 세포 치료제(EBViNT, WTiNT, TERTiNT, TAST), 항체치료제(EU101, EU102, EU103), CAR T 세포 치료제(MVR CAR-T, GPC3 CAR-T) 등을 개발 중. 최대주주는 권병세 외(37.72%), 주요주주는 Zhejiang Huahai Pharmaceutical Co., LTD.(16.38%) |
#제넥신 | 독자적인 기반기술을 바탕으로 바이오 신약을 개발하는 업체. 주요 신약 개발 제품 라인으로는 항암면역치료제와 지속형 항체융합단백질 치료제 제품군, 유전자 치료백신 제품군으로 분류. 대표적 파이프라인으로 항암 면역치료제 (GX-I7)를 보유하고 있으며, 차세대 단백질 신약으로 지속형 인간성장호르몬 (GX-H9), 빈혈 치료제 (GX-E4) 등을 개발중이며, DNA 벡터기술과 면역증강 기술을 통해 DNA백신인 GX-188E(자궁경부암 치료백신)와 GX-19N(COVID-19 예방백신)를 개발중.최대주주는 (주)한독(15.59%), 주요주주는 성영철 외(8.01%) |
#코미팜 | 동물용 백신과 소독제(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AI), 돼지콜레라 등), 각종 예방약인 백신제 및 치료제인 주사제, 영양제 등의 동물용 의약품 전문 제조업체. 인체의약품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먹는 항암제 및 암성통증 치료제인 코미녹스(KML001)를 개발하여 현재 미국, 호주, 한국 등에서 임상 진행 중이며, 오송바이오 단지 내에 관련 생산공장 완공. 최대주주는 양용진 외(40.11%) 상호변경 : 한국미생물연구소 -> 코미팜(04년9월) |
#크리스탈지노 | 차세대 관절염 진통소염제 '아셀렉스'를 포함하여 슈퍼박테리아용 항생제 및 분자표적 항암제 등 혁신 신약 개발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 슈퍼박테리아 감염증 치료를 위한 신개념 항생제 개발(개발명 CG400549)이 지식경제부의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으로 선정됐으며, 미국에서 CG-549의 임상2a상 시험 성공 후 임상 2b상 시험 계획중. 2018년 4월 미국 CBT 파마슈티컬스의 면역관문억제제인 CBT-501과 동사의 분자표적항암제 CG-745의 병용요법에 대한 글로벌 공동임상개발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향후 간암, 폐암 등의 적응증으로 글로벌 공동임상개발을 위해 준비중.최대주주는 조중명 외(9.26%) 상호변경 : 크리스탈 -> 크리스탈지노믹스(20년9월) |
#현대바이오 | 바이오 화장품, 양모제 등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2012년 상반기부터 바이오 신규사업을 추진해 바이오 신물질 비타브리드C를 생산, 이를 이용한 양모제 출시. 바이오 양모제 및 화장품이 매출액의 대부분을 차지. 수익성 낮은 기존 LCD모니터 사업은 자체생산을 중단키로 결정했으며, 디지털 사이니지 사업도 자체생산을 중단하고 필요시 위탁생산하는 방식으로 전환. 최대주주는 (주)씨앤팜 외(12.47%) 상호변경 : 현대이미지 -> 현대아이티(06년4월) -> 현대아이비티(12년4월) -> 현대바이오(18년9월) |
*JW중외제약 | JW그룹 계열의 제약업체. 수액제(링겔)를 비롯해 프리페넴(항생제), 리바로(고지혈증치료제), 시그마트(협심증치료제), 트루패스(전립선비대증 치료제), 인공눈물(프렌즈 시리즈) 등 다양한 약효군의 전문의약품을 제조 및 판매. 최대주주는 JW홀딩스㈜ 외(40.23%) 상호변경 : 중외제약 -> JW중외제약(11년4월) |
*녹십자 | 녹십자그룹 계열의 의약품 제조, 판매업체. 전문의약품에서부터 일반의약품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제품 라인 보유. 국내 최초로 AIDS진단시약과 인플루엔자감염증 치료제를 개발하고 다수의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임상을 진행하는 등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차별화된 노하우와 경쟁력을 확보중. 혈액제제 및 백신제제 등의 분야에서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혈액제제류 관련 높은 매출 비중 보유. (주)녹십자엠에스, (주)녹십자웰빙, (주)녹십자랩셀, (주)녹십자지놈 등의 자회사를 보유. 최대주주는 (주)녹십자홀딩스 외(52.23%), 주요주주는 국민연금공단(9.12%) 상호변경 : 상아제약 -> 녹십자상아(03년7월) -> 녹십자(04년10월) |
*대웅 | 대웅그룹의 지주회사. 주 수익은 자회사에 대한 용역 수익, 임대료수익, 수수료 수익 등으로 구성. (주)대웅제약, 대웅바이오(주), (주)대웅개발, 한올바이오파마(주), (주)대웅테라퓨틱스 등을 주요 종속회사로 보유.최대주주는 윤재승 외(38.20%) |
*대웅제약 | 의약품 생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는 제약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나보타(보툴리눔 톡신 제제), 우루사(피로회복, 간장해독), 올메텍(고혈압치료제), 가스모틴(기능성소화제) 등을 보유. 16년12월 인도네시아 식약청(BPOM)으로부터 바이오시밀러 빈혈치료제 '에포디온'의 품목허가를 취득해 17년1월 출시. 보툴리눔 톡신 제제인 '나보타'가 19년2월 美 FDA로부터 승인되었으며, 19년5월 美 파트너사인 에볼루스를 통해 제품명 '주보'(Jeuveau)로 美 시장에 진출. 한올바이오파마 등을 주요 중속회사로 보유.최대주주는 (주)대웅 외(54.55%), 주요주주는 국민연금관리공단(5.09%) |
*부광약품 | 의약품 및 의약외품을 제조 판매하는 제약 전문업체. 주요 제품으로는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병증 치료제 덱시드/치옥타시드, 간질환 치료제 레가론, 빈혈치료제 훼로바, 간질치료제 오르필, 기관지확장제 액시마 등. 진행중인 연구과제로 파킨슨병 환자의 Levodopa induced Dyskinesia 치료제 JM-010, 제2형 당뇨병 치료제 MLR-1023, COVID-19 치료제 레보비르(성분명 클레부딘) 등이 있음.최대주주는 김동연 외(24.34%), 주요주주는 국민연금공단(8.41%) |
*셀트리온 | 생명공학기술 및 동물세포대량배양기술을 기반으로 항암제 등 각종 단백질 치료제 개발/생산 업체. 18년 2월9일 코스닥시장에서 코스피시장으로 이전 상장.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레미케이드의 바이오시밀러(램시마)가 89개국에서 판매허가를 받고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중. 유방암 치료제 허셉틴의 바이오시밀러인 "허쥬마"는 14년1월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제품 허가를 받았으며, 18년2월 유럽 EMA 판매허가 취득, 18년12월 미국식품의약국(FDA)에도 최종 허가 신청을 받고 20년3월 판매 개시.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CT-P10)는 17년4월부터 영국, 독일 등 유럽 국가에서 판매를 시작. 후속 바이오시밀러 제품인 CT-P17(휴미라 바이오시밀러, 류마티스관절염 등의 치료제)은 EMA (EU) 품목허가 신청이 완료된 상태이며, CT-P16(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대장암 등의 치료제)은 임상 3상을 진행중.최대주주는 (주)셀트리온홀딩스 외(22.81%), 주요주주는 Ion Investments B.V.(7.49%), 국민연금공단(9.16%), 상호변경 : 오알켐 -> 셀트리온(08년8월) |
*신풍제약 | 원료 자체 개발 능력을 보유한 의약품 제조, 판매 업체. 주요 매출품목은 관절기능개선제(하이알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록스펜정), 페니실린계 항생제(크라목신), 항암제(브레트라정) 등. 코로나19 치료제로 항말라리아제 '피라맥스'에 대한 약물 재창출을 추진중.최대주주는 (주)송암사 외(27.96%), 주요주주는 장지이 외(7.19%) |
*일양약품 | 자양강장제 원비디, 항 궤양제 놀텍,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하이트린, 원료의약품 알마게이트 등의 의약품을 제조, 판매하는 전문 제약업체. 충북 음성에 연간 최대 6,000만 도스(does) 생산 규모의 인플루엔자 백신공장을 준공해 본격 생산판매 돌입. 계절 독감백신을 생산/판매 중이며, 새로운 고부가치 백신으로 3,4가 플루백신, 조류독감백신 등 다양한 백신을 생산/판매하기 위해 백신사업에 지속적으로 R&D투자를 진행중.최대주주는 정도언 외(26.34%), 주요주주는 국민연금고유(7.10%) 상호변경 : 일양약품공업 -> 일양약품(91년05월) |
[주식] 면역항암제 관련주 (0) | 2021.03.18 |
---|---|
[주식] 정보 보안 관련주 (0) | 2021.03.18 |
[주식] 메타버스(Metaverse) 관련주 (0) | 2021.03.11 |
[주식] 희귀금속(희토류 등) 관련주 (0) | 2021.02.25 |
[주식] 재난/안전 (태풍, 홍수, 호우, 화재, 지진, 인위적 사고, 환경오염 등) 관련주 (0) | 2021.02.15 |